• Home
  • 일제강점기 자료 아카이브
  • 디지털 박물관

디지털 박물관
Disital Museum

디지털 박물관

B04所作事と音曲、舞台の照明

「大江戸しばゐねんぢうぎゃうじ」「さし出し・かんてら」
English Commentary
絵師:吟光 判型:大判/錦絵
出版:明治30年(1897)東京
資料番号:arcUP2062 所蔵:立命館ARC.

【翻刻】
さし出し・かんてら

昔の芝居にはさし出し 俗に面明りと唱え 役者が指す手引く手と共に 左右の燭を持て之を照らし 又舞台前かんてらと称し蝋燭立を挿す 此図は其昔三ヶの津第一の立お山(女形)中村富十郎が始めて京鹿の子娘道成寺の所作を演じたる所を写し 差出しかんてらのさまを示す   千秋誌 さし出しや すかたの花に 舞ふ蝴蝶

【해설】
전기 조명이 나오기 이전에는 무대의 조명 효과를 어떻게 고안해 왔던 것일까? 무대에는 지붕이 있어서 전체적으로 극장 안은 꽤 어두웠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래서 그림과 같이 무대 앞 쪽에 ‘간테라(カンテラ)’로 불리는 촛대를 두고 그 촛불의 불빛으로 무대를 비췄다. 또 스포트라이트 대신에 손잡이를 잡고 촛대를 길게 뻗어 배우 얼굴 근처에 불빛을 가지고 가서 얼굴 조명으로 썼다. 이 그림에서는 상하로 의상을 입은 배우가 조명을 비추고 있는 것은 이 장면이 ‘무스메도조지(娘道成寺)’라는 고전적인 무용이기 때문이고, 평소의 사실적인 무대에서는 상하 전체 검은 옷을 입은 ‘구로고(黒衣)’가 맡아서 한다.

본 그림은, 호레키(1751~1764)에 전성기를 누린 초대 나카무라 도주로(中村富十郎)가 ‘교가노코무스메도조지(京鹿子娘道成寺)’의 시라뵤시하나코(白拍子花子)를 연기하고 있는 장면으로 보이는데, 물론 초연 당시의 무대를 묘사한 것이 아니라 에도 막부 말기 무렵의 무대 분위기를 담고 있다.

【용어 해설】
差出し、面明り、カンテラ、三ヶ津、立女形、中村富十郎、京鹿子娘道成寺

【관련 코너】
「演技と演出」「音響と音楽」